Table of Contents

프랜시스 베이컨 – 학문의 진보

프랜시스 베이컨 - 학문의 진보
프랜시스 베이컨 - 학문의 진보

프랜시스 베이컨 씨는 학문이 중요하다고 했다.

학문의 진보 저자의 이름은  프랜시스 베이컨, 영국 잉글랜드에서 태어난 철학자이자 정치인이다. 

과연 철학자란 프랜시스 베이컨 처럼 진지한 자세로 고뇌하고 깨닫는 사람인가 보다.

그는 학문에 대한 엄청난 고찰을 남겼다. 

‘학문의 진보’는 신적, 인간적 학문의 번영과 진보에 관한 프란시스 베이컨의 책 제1권 과 제 2권으로 이루어졌다.

학문의 진보 라는 제목에서 ‘진보 Advancement’ 라는 단어가 궁금해졌다. 

학문이 진보한다. 학문이 더 나아지고 발전한다. 어떻게?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은 그게 왜 중요하다고 생각한걸까?

프랜시스 베이컨 씨에게 묻다! 학문의 정의, 목적 그리고 귀납법? 

질문자 : 프랜시스 베이컨씨! 당신에게 학문은 무엇입니까?

베이컨 : 학문은 지식의 획득을 통해 인류의 삶을 개선하는 행위 입니다. 

질문자 : 그렇군요! 그럼 학문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베이컨 : 인류의 번영과 행복을 위해 학문을 해야합니다. 지식은 힘이며, 지식을 통해 인간은 자연을 지배하고 삶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학문의 목표를 단순히 지식의 획득에 두지 않고, 이를 통해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두어야 합니다.

질문자 : 그런데 귀납법은 뭐죠?

베이컨 : 귀납법은 개별적인 사실과 경험을 바탕으로 일반 법칙을 도출하는 방법입니다. 귀납법을 통해 예전에 학문이 추구 했던 형이상학적 사변을 극복하고, 실용적인 가치를 가진 지식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프랜시스 베이컨의 고찰에 따르면 학문이 걸리는 질병이 있습니다.

일단 내가 이 글을 쓰기 위해 선별한, 프랜시스 베이컨 이 말하는 학문의 질병 몇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옛것과 새것 중 하나만 편애하는 오류

      1. 지식이 미성숙한 상태에서 너무 성급하게 방법으로 환원하는 오류

      1. 인간의 지혜를 지나치게 높이 평가하여 발생하는 오류

      1. 내가 좋아하는 견해나 지식으로 모든 것을 물들이려고 하는 오류

      1. 조급증이 발동해 성급하게 판단하고 단정짓는 오류

      1. 지나치게 신봉한 나머지 검토하지 않는 오류

    1. 지식의 최종 목표를 오해하고 그릇되게 설정하는 오류
     
     

    학문에 관심없는 독자가 ‘학문의 진보’를 읽고 느낀점

    학문에 그와 같은 열정이 없는 나는 그의 책 ‘학문의 진보’를 (그의 의도에서 벗어난 것 같으나, 나의 한계로 인하여) 조금 다르게 받아들였다.

    다시 위로 돌아가서 프랜시스 베이컨이 설명한 학문이 걸리는 질병을 살펴보자.

    아니! 학문의 질병이 마치 인생을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번 쯤은 하는 실수들이 아닌가! 

        1. 옛것과 새것 중 하나만 옳다고 생각하면 세대갈등이 생긴다. 

        1. 잘 모른다 + 성급하다 = 일을 그르친다.

        1. 너무 자만한 사람은 언젠가 큰코 다친다. 

        1. 내가 옳다고 생각하는 것만 주장하면 편협해진다. 

        1. 조급하게 판단하면 잘못 판단한다. 이건 판단이 아니라 찍는 것과 가깝다.

        1. 너무 믿지말자. 누구든, 무엇이든, 어떤 일이든 너무 믿으면 판단력이 흐려지고 결국 피해를 입는다. 

        1.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삶의 목표를 올바르게 정하는 것이다. 목표가 잘못되면 모든 것이 틀어진다. 

      그러니까 학문의 오류는 사람이 학문을 하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었다. 만일 AI 가 학문을 했다면 이와 같은 문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그렇다면 제대로 학문 하여 인류의 삶을 개선하자 는 베이컨의 말이 조금씩 이해 되기 시작한다.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찾은 ‘학문으로 더 나은 삶’을 위한 해결방법 = 귀납법

      프랜시스 베이컨 은 더 나은 학문을 추구하는 방법으로 귀납법을 제시했다.

      베이컨의 귀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1. 관찰과 실험을 통해 개별적인 사실과 경험을 수집한다.

          1. 수집한 사실과 경험을 분류하고 분석한다.

          1. 공통적인 속성이나 규칙을 발견한다.

          1. 발견한 속성이나 규칙을 일반 법칙으로 도출한다.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철은 가열하면 녹는다. 그러므로 모든 금속은 가열하면 녹는다는 규칙을 도출할 수 있다. 

        하지만 개별적인 사실과 경험을 바탕으로 도출한 일반 법칙이 항상 옳은 것은 아니다. 귀납법은 일반화의 오류에 빠질 위험을 내재하고 있다. 

        ‘더 나은 삶’을 살기 위해 찾은 해결방법은?

        문제를 인지하게 되면 해결 방법도 찾을 수 있다.

        다행히도 철학자 프랜시스 베이컨이 열심히 고뇌하여 문제점을 찾았다. 

        이제 어떻게 하면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을지 고민해보자.

        먼저 이 방법은 언제나 실천 가능하고 어렵지 않아서 꾸준히 할 수 있는 것 이어야 한다. 마치 프랜시스 베이컨의 귀납법 처럼. 

        질문자 : 프랜시스 베이컨 씨! 저는 관찰자가 되는 것이 바로 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베이컨씨가 관찰자가 되어 학문을 바라보며 문제점과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않았습니까? 몇걸음 떨어져서 상황의 배경과 정보와 문제와 얽힌 사람들과 나 자신을 살펴보면 나의 생각과 조급함 그리고 편애하는 것에서 멀어져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멀리서 숲을 바라보면 나무와 꽃만 보던 때와 다른 광경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하는 것과 마찬가지죠!

        베이컨 : 그렇고 말고요! 예리한 관찰은 진정한 이해의 원동력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당신의 흥미로운 지적처럼, 상황에 관여되지 않고 한걸음 물러나면 우리는 종종 우리의 시야를 왜곡시키는 감정과 편견의 장막 뒤를 꿰뚫어 볼 수 있게 됩니다. 나뭇잎 하나에 시선을 고정하여 숲의 광대함을 파악할 수 없듯이, 참된 지혜는 모든 가지와 시냇물과 동물을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는 탁 트인 전망을 요구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러니 나는 눈을 떼지 말라고 말합니다. 사랑하는 친구여! 호기심을 길잡이로 삼고 나침반을 주시하십시오. 크게 보면 우리는 모두 빛을 향해 나아가기 위하여 애쓰는 작은 묘목일 뿐이지만, 관찰의 힘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자라는 바로 그 숲을 이해하게 될 수도 있습니다.

        **프랜시스 베이컨이 된 AI 의 답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