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지구온난화 그리고 대멸종

지구온난화 그리고 대멸종

지구온난화 그리고 대멸종

지구 역사상 생명체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 5번의 대멸종 사건이 있었다.

1. 오르도비스기-실루리아기 대멸종 (약 4억 4천 5백만 년 전)

2. 데본기 말 대멸종 (약 3억 7천만 년 전)

3.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약 2억 5천만 년 전)

4.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 (약 2억 억년 전)

5. 백악기-팔레오기 대멸종 (약 6천 6백만 년 전)

그리고 이 대멸종은 모두 공통적으로 극심한 환경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

 

지구온난화 그리고 인간 활동

마치 멸종으로 가는 지름길을 발견한 것 같다.

북극의 빙하는 지난 40년간 40%이상 감소했다.

어류 자원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무분별한 어획으로 개체수가 감소했다.

매년 베어내는 나무는 150억 그루에 달한다.

인간이 강과 호수에 건설한 댐과 수질 오염 그리고 물 낭비로 인해 담수에 서식하는 생물의 80%가 감소했다.

지구 상의 비옥한 토지의 절반이 농지로 개간 되었다. 

현재 존재하는 조류의 70%는 인간이 기르는 가축이고 대부분이 닭이다. 

지구에 살고 있는 포유류의 3분의 1은 인간이며, 나머지 60%는 인간이 고기를 얻기 위해 키우는 동물이다. 2100년에 인류는 110억명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6번째 대멸종은 현재 진행중

인간 활동의 결과, 지구온난화 로 기후는 점점 예측하기 어려워지고 무분별한 개발과 환경오염으로 생물 다양성이 사라졌다. 

1937년 세계 인구는 고작 23억명 남짓. 지구의 66%가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는 미개척지였다. 2020년 세계 인구는 78억명에 미개척지는 고작 35%이며, 대기중 이산화탄소는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지구 온도 상승 그래프가 마구 치솟는다. 

지구온난화 기온 상승 그래프

 

지구온난화 기온 상승 그래프 NASA climate science

1984년 푸른 지구는 2022년 붉게 변했다.

1984년 지구온난화 발생 전 푸른 지구의 모습

 

1984 지구온난화 전

2022년 지구온난화 발생 후 붉은 지구의 모습

 

2022 지구온난화 발생 후

과학자들은 지구의 온도가 이렇게 가파른 속도로 상승하게 되면 곧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이 멸종하게 될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영화 속에서 보던 “대멸종”이 정말 오는 것일까? 

지구에 문제가 생겼다는 것이 체감되는 요즘이다. 뉴스에 매일 기후 재난 소식이 들려온다.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에 대해 들어온지 10년이 넘었지만 먼 미래의 일이라고 생각했던 그 시기가 오고 있는 것 같다. 

2015년 12월 파리기후협정에 따라 지구 평균 온도 상승폭을 1.5°C 이내로 제한하기로 합의했으나  우리는 그 마지노선에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한계에 다다른 바다는 더이상 열을 흡수하지 못한다. 열대우림도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무수한 경작과 살충제 사용으로 토양에 사는 미생물이 감소하면서 땅은 더이상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지 못한다. 

 

지구온난화 해결방법

지구온난화의 해결방법은 자연이다.

     

    산업화된 농업 방식은 토지가 탄소를 배출하게 만들었고, 세계 총 탄소 배출량의 ¼이 토지에서 뿜어져 나오고 있다.

    재생 농업은 토양 건강을 개선하고 생물 다양성을 증진하며, 대기 중 탄소를 포집하여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식량을 생산하는 농업으로 탄소는 흙 속에 사는 미생물들의 먹이가 되고, 식물들의 에너지가 된다.

       

        • 바다

      바다는 전체 탄소의 36%를 흡수하여 지구 온난화 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온이 낮을수록 이산화탄소 용해도가 더 많은 탄소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대로 수온이 상승하면 저장할 수 있는 탄소의 양이 감소한다.

      해양 식물(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유기 화합물로 변환하고,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산소는 대기로 돌아간다. 

      유기 화합물은 해양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통해 이동하며 일부는 해저 퇴적물에 저장된다.

       

      지금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이제 인간은 자연의 순환 과정과 원리를 잘 알고 있는 것 같다. 그 순환을 방해하지 않고 다시 자연을 가꾸고 보호하는 지속가능한 공존의 삶을 살아야한다.

      지구온난화 문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배출을 줄이고 대기 중 축적된 탄소를 줄여나가야 한다.

      화석 연료를 환경에 적은 영향을 미치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로 대체해야한다.

      재생 농업(Regenerative Agriculture)과 스마트 농업을 하는 등 기존 살충제를 사용하고 경운하는 농업 방식을 바꿔야한다.

      육류 보다 채소 위주의 식습관을 가져야한다. 

      어류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바다 생태계를 보호해야한다.

      마찬가지로 무분별한 개척으로 황페화된 토지를 자연에게 돌려줘야한다. 그곳에 나무를 심고 자연이 생물 다양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한다.